정보처리기사를 공부하면서 기술사 공부도 같이 하고 있는데요. 정말 어려운 내용이 많은 것 같아요. 근데 기술사 기사 공부를 하면서 좀 더 쉽게 개념을 잡을 방법이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글을 씁니다. 현업에서 일을 하면서 정말 여러번 일자리를 옮기기도 했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 하면서 공부를 하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전문성이 없는 일자리가 많은 것 같아요. 전문적인 일이라기보다는 회사일을 하다 보면 잡일이 많은 것 같습니다. 잡일을 많이 하면서 느끼기도 했는데. 기술사 공부를 하면서 코딩 구현만이 공부의 전부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공부의 요점을 정리해 보면.... 돈이 되는 공부를 하는 것인데요. 이 기술이 이 공부가 회사에 아니면 자신의 발전에 기여를 하는 공부인지를 먼저 체크해 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아요. 그리고 프로그램을 하면서 지금 하고 있는 일이 정말로 회사에 도움이 되는 일일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일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그런 부분을 생각하면서 공부가 재밌어지고 재미있는 공부를 하니까. 학업 성취도도 높아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기술사 공부중에 IT경영이라는 파트가 있는데요. 이내용을 잘 아는 것은 아니지만, 내가 하는 코딩은 하나의 부분이고 자꾸 프로그램을하는 사람들이 왜 자꾸 이직을 하게 되는지 이해하게 되었던 것 같아요. 프로그래머는 프로젝트를 따라다니게 되는데. 자꾸 프로젝트를 따야 하고 이것저것 하다 보면 프로그램도 언어에 따라 여러 분야가 있는데.... 기술도 여러분야가 있고 정말 이런 것들을 생각하다 보면 정말 돈이 되는 일, 프로그램을 하는 회사가 몇이나 될까하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구글이나 네이버같이 문어발 싹으로 여러 프로젝트를 하는 회사는 정말 돈이 많은 회사니까 가능한 거고. 작은 회사에서 프로그램에만 집중해서 일을 할 수 있는 회사가 몇이나 될까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기술사 공부도 자격증 공부라 깊이보다는 넓이의 지식인것 같은 생각이 들면서.... IT 기술의 방대한 스케일을 느끼게 하는 공부인것 같아요.
자격증 공부이니까. 그 범위가 정해져 있는데요. 제 생각에는 데이타베이스, 프로그램언어, 프로그램 개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공부한다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검색을 자꾸하다보니까 자꾸 좋은 선생님들을 인터넷으로 만나게 되는 것 같아 즐겁고요. 저보다 나이는 적지만, 전문분야에 뛰어난 사람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머리속 키워드(이영애,유재석,김연아,겨울왕국)를 이용한 블러그 방문자수 를 늘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려고 해요.
우선 자신의 블러그를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을 거에요. 하지만 글을 블러그에 써도 아무도 보지 않는 다면 그냥 일기장에 쓰는 것과 다르지 않아요. 다음뷰나 트위터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링크가 걸린 글을 잘 읽지 않는다는 점이 있습니다. 트위터의 팔로워들과 친하다면 다른 이야기지만 팔로워가 너무 늘어 나버리면 팔로워 중에 친구 찾는 것도 힘들어요.
그리고 블로그는 하나의 자산이라고 생각하셔도 돼요. 지적재산권이 이라고 하죠. 광고나 제휴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도 있고요.
그 재산 가치를 높이려면 방문자 수가 많아야 해요. 친구가 재산인 것처럼 블러그를 하면 친구도 많이 늘어나요. 정말 장점이 많은 것 같아요.
그럼 방문자를 늘리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법을 많이 쓰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검색유입이에요.
다음뷰나 트위터로 블러그로 유입되는 방문자는 적어요. 그건 타이밍 문제인 것 같아요. 아무리 좋은 정보도 필요할 때 그걸 읽거든요.
하지만 검색이 아닌 다음에야 필요할 시간에 좋은 정보를 줄 수가 없어요.
그리고 자신이 가진 정보가 가장 좋다고 생각하지만 이미 유사한 정보들이 검색해보면 많이 있을 수 있어요.
그럼 일반 사람들하고 만나는 회수가 줄게 되죠. 방문자가 줄면 블러그를 하는 사람은 마음이 힘들죠.
그리고 상업적으로 이용하시는 분은 경제적으로 힘들게 되고요.
그래서 소개하고 싶은 것이 있어요. 그건 검색이 많이 되는 키워드를 사용하는 거에요.
실제로 (이영애,유재석,김연아,겨울왕국) 키워드를 사용하면 검색이 잘 되는 것은 아니에요.
제 경험상 트위스터로 처음 유입이 시작되요. 그리고 검색엔진이 자료를 내가 자료가 있는 것을 인식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고
그리고 사람들이 제목이 좋으면 클릭을 해서 어느 정도 유입이 되면 그때 부터 상위 노출이 되고 본격적으로 유입이 시작돼요.
정말 눈 깜짝 할 사이에 10명 100명이 들어와요. 하지만 내용도 좀 좋아야 해요. 그래야 검색엔진이 사람들이 블러그에 머물고 있는 것을 채크하니까요. 직접 보는 것은 아니고 채류시간을 채크하는 것 같아요.